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반디집
- 파일관리자
- v3
- 한글2024
- Directory Opus
- 디스크샷
- 건강
- 한글화
- 여행
- ANDAR
- 티스토리챌린지
- 국민연금
- 파솔로 2022
- 파일 탐색기
- n번방 자료실
- 오블완
- 이녁하늘
- 한글패치
- 레시피
- 한글 패치
- 한글 2022
- 이녁 하늘
- 탐색기
- Alchemy CATALYST 2021
- 범용 태그 편집기
- Alchemy CATALYST 2023
- 백신
- 지역화
- 안다르
- 운동
- Today
- Total
이녁 하늘 아래
은퇴준비자의 연금설계를 위한 꿀팁 본문
올해부터 연금수령 연1500만원까지 저율 분리과세
올해부터 연 1500만원 이하로 연금수령시 저율과세가 적용된다. 기존 연 1200만원에서 상향, 절세를 위해선 연 1500만원 이하로 연금수령액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. 또 연금개시를 늦출 수록 절세에 도움이 된다.
금융감독원은 최근 이같은 내용의 '은퇴준비자의 연금설계를 위한 꿀팁'을 안내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Vy4G/btsLsMup86a/4yHTPjyy0dUov2R1Wec5MK/img.jpg)
올해부터 저율과세가 적용되는 분리과세 기준금액 한도가 연 1200만원에서 1500만원으로 상향됐다. 과세대상금액을 연간 총 1500만원 이하로 수령하는 경우엔 저율의 연금소득세(3.3%~5.5%)를 적용한다.
15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연금수령액 전액을 다른 소득과 합산해 종합과세(6.6%~49.5%)하거나 분리과세(16.5%) 하는 방법 중 선택할 수 있다.
절세를 위해선 연간 연금수령액 1500만원 이하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. 1500만원을 초과할 경우 종합과세와 분리과세를 비교해 유리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wWS1i/btsLrI7gYfE/pvKKkAV7knyCLELiv41A61/img.jpg)
소득세법상 연금소득세는 연금수령시 가입자의 연령에 따라 세율이 다르게 적용된다.
확정기간형 연금의 경우 소득세율은
△ 55세 이상 69세 이하인 경우 5.5%
△ 70세 이상 79세 이하 4.4%
△ 80세 이상 3.3%로 낮아진다.
종신형 연금은 연금수령시 연령
△ 55세 이상 79세 이하 4.4%
△ 80세 이상 3.3%의 연금소득세가 부과된다.
만 55세 이후에도 계속 급여·사업소득이 발생하거나 경제적 여력이 있다면 연금 수령 개시 시점을 늦추는 방법으로 절세할 수 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AzuN/btsLstIG4Pt/n3VAzVvK10rLBQfDYWMc0k/img.jpg)
또 퇴직급여(퇴직금, 퇴직연금)를 일시금보다 연금으로 수령하는 경우 세제상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수령기간이 장기간일수록 세제혜택이 더 커진다.
퇴직급여를 연간 연금수령한도 이하로 수령하는 경우 10년 차까지는 퇴직소득세의 30%가 감면된다.
연금수령 11년 차부터는 연금수령한도를 미적용,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고 11년 차부터는 퇴직소득세의 40%를 감면해 약 10%포인트의 추가 절세가 가능하다.
연금저축을 중도인출 하는 경우 과세대상금액에 대해 기타소득세(16.5%)가 부과되나 소득세법에서 정한 부득이한 사유로 인출하는 경우 저율의 연금소득세(3.3%~5.5%)가 부과된다는 점도 알아두자. 가령 천재지변, 가입자 사망·해외이주, 가입자 또는 그 부양가족이 3개월 이상 요양이 필요한 경우 등이다.
내 연금정보는 금융감독원에서 운영하는 통합연금포털 '내연금조회'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.
자료 출처 :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달라진 연말정산 ① (8) | 2025.01.04 |
---|---|
퇴직연금 실물이전, 왜? 어떻게? (3) | 2024.11.27 |
연말정산, 신용카드 공제한도 300만원 (0) | 2024.11.18 |
국민연금 月 200만원씩 받았더니…세금 내라네요 (0) | 2024.11.15 |
월 소득 299만원, 국민연금 얼마나 받나…40년 가입에 월 120만원 (1) | 2024.10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