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백신
- GTX-A
- 국민연금
- 디스크샷
- Directory Opus
- 이녁하늘
- 한글 2022
- 반디집
- 운동
- 한글화
- 파일관리자
- 오블완
- 한글 패치
- 레시피
- 범용 태그 편집기
- 지역화
- Alchemy CATALYST 2023
- 안다르
- 건강
- n번방 자료실
- 탐색기
- 티스토리챌린지
- v3
- ANDAR
- 한글패치
- 파솔로 2022
- Alchemy CATALYST 2021
- 파일 탐색기
- 이녁 하늘
- 여행
- Today
- Total
이녁 하늘 아래
정년 이후 만64세까지 국민연금 내라고? 본문
정년 이후 만64세까지 국민연금 내라고?
현재 만 59세인 국민연금 의무가입 상한 연령을 64세로 높여 수급 개시 연령(65세)과 맞춰야 한다고 한국 정부에 권고한 경제협력개발기구(OECD)의 조언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
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가 의무가입 상한 연령을 만 64세로 상향하고, 수급 개시 연령은 65세를 유지하는 단일 안을 선정, 시민대표단 공개 토론에 부쳐 결론을 도출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.
이에 따라 정년 연장 논란도 점차 뜨거워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
17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국민연금 가입 기간은 만 18세 이상부터 59세(60세 미만)까지로, 다른 나라와 비교해 가입 시작 나이는 거의 차이가 없지만, 종료 연령은 상당히 낮습니다. 가입 상한 연령 59세는 1988년 국민연금제도를 시행하면서 정한 기준입니다.
퇴직 후 연금을 받기 시작하는 나이가 현행 법정 정년과 같이 60세였던 2012년까지만 해도 보험료 납부 상한 연령과 수급 개시 연령 간에 괴리는 없었습니다.
하지만 수급 개시 연령이 1998년 1차 연금개혁 때 재정안정 차원에서 2013년 61세로 높아졌고, 이후 5년마다 한 살씩 늦춰져서 2033년부터는 65세에 연금을 받도록 바뀌면서 간격이 생겼습니다.
구체적 수급 개시 연령을 보면 1953∼56년생 61세, 1957∼60년생 62세, 1961∼64년생 63세, 1965∼68년생 64세, 1969년생 이상 65세 등입니다. 그렇다 보니 의무가입 종료 후 수급 개시 전까지 가입 공백과 소득 단절이 발생하고 있습니다.
OECD는 우리나라가 국민연금 의무가입 연령을 만 64세로 늘리면 가입자가 받는 돈이 약 13% 정도 늘어나 노후 소득을 강화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.
한편, 의무가입 연장은 정년 연장 주장의 주요 근거가 되고 있습니다. 노동계는 현재 법정 정년인 60세를 65세로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그 논거 중에 하나가 국민연금 의무가입 연장입니다.
자료 출처 : SBS Biz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연금 더 받으려고 5년 연기?…“건보료 폭탄 맞을 수도” (0) | 2024.05.25 |
---|---|
앗, 돈 잘못 보냈네…가장 먼저 할 일은 (0) | 2024.05.06 |
세탁기에 소금 넣으면 벌어지는 일 (0) | 2024.04.11 |
추심 들어오면 이것부터 확인? (0) | 2024.01.29 |
“1종 자동 운전면허 신설”…2024년부터 바뀌는 교통·자동차 규정 3가지 (2) | 2024.01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