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녁 하늘 아래

나이 먹었을 때 나타나는 ‘몸의 신호’ 3 본문

건강

나이 먹었을 때 나타나는 ‘몸의 신호’ 3

이녁 2024. 5. 18. 20:30
나이 먹었을 때 나타나는 ‘몸의 신호’ 3

 

 

 

 

사람은 누구나 나이를 먹게 되는데, 나이가 들면서 몸이 예전 같지 않게 느껴질 때가 있다. 실제로 우리 몸은 시간이 지날수록 퇴화하게 된다. 몸이 보내는 대표적인 노화 신호 3가지를 알아본다.

 

◇ 피부 가려움

 

피부가 노화되면 표피 세포(피부의 가장 겉 부분)에서 만드는 피부 보호 물질인 천연보습인자 생성이 줄어든다. 천연보습인자가 부족해지면 피부가 건조해지고, 가려움을 더 잘 느끼게 된다. 또 표피 세포의 재생 능력이 떨어지는 것도 문제다. 미국 워싱턴 주립대 연구팀이 진행한 동물 실험에 따르면 늙은 쥐는 어린 쥐에 비해 압력을 느끼는 세포인 ‘메르켈 세포’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. 메르켈 세포는 피부가 자극을 감지했을 때 해당 자극이 가려움인지, 단순 압력인지 분류해 신경 체계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. 메르켈 세포가 크게 줄거나 기능이 떨어지면 옷이 닿는 등의 일반적인 자극에도 가려움을 느낄 수 있다.

 

◇ 냄새

 

나이 들수록 몸에서 나는 냄새도 심해진다. 그 이유는 ‘노넨알데하이드’라는 물질 때문이다. 노넨알데하이드는 피지 속 지방산이 산화되며 만들어지는 물질로 모공에 쌓여 퀴퀴한 냄새를 만든다. 노넨알데하이드는 젊었을 때는 생성되지 않다가 40대부터 노화로 인해

▲ 피부 유익균 감소‧유해균 증가

▲ 피부 산성화

▲ 지질 성분 변화 등 때문에 만들어진다.

나이가 들면 노넨알데하이드 제거 능력이 감소하는 것도 문제다. 나이 들면 신진대사가 느려지고, 활동량 감소와 신경계 퇴화로 땀 분비량이 줄어 노넨알데하이드를 잘 배출하지 못한다. 노화와 함께, 술과 담배를 즐기면 노넨알데하이드 분비량도 증가해 냄새가 더 많이 난다. 음주는 노넨알데하이드 생성을 촉진하고 흡연은 분해를 억제한다.

 

◇ 약해지는 관절‧뼈

 

앉았다 일어날 때 무언가를 잡고 일어서거나 다리를 온전히 펴고 굽히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. 실제로 무릎 관절은 쓸수록 닳아 없어지는 소모성 조직이기 때문에 노화와 관련 있다. 골밀도와 뼈 질량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줄어든다.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은 노화다. 나이가 들면 뼈 밀도가 점차 감소하기 때문이다.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분비가 감소하면서 골다공증에 더욱 취약해진다. 골다공증은 뼈의 양이 줄어들어 뼈가 얇아지고 약해져 잘 부러지는 질환이다. 여성호르몬은 우리 몸에서 뼈의 생성‧소멸에 필요한 세포들의 균형을 지켜주는데, 이 같은 역할을 하는 여성호르몬이 줄면 균형이 깨지고 뼈를 제대로 만들어내지 못한다.

 

 

자료 출처 : 헬스조선 

 

 

Comments